HARU:) 하루의 세금 이야기88 배달의 민족, 네이버스토어 등 온라인 매출 부가세신고 방법 총 정리 배달의 민족, 네이버스토어 등 온라인 매출 부가세 신고 방법 총 정리7월 25일은 22년 1기 확정분 (1월~6월) 부가세 신고기간입니다. 코로나19의 시작과 함께 비대면 매출이 많이 증가하였고, 그 종류도 너무나 다양해서 부가세 신고 시 매출을 어떻게 잡아야 할지 고민하고 계시는 분이 많을 거라 생각됩니다. 오늘은 온라인 매출의 결제 별 매출인식 방법을 정리해서 공유할까 합니다. 배달의 민족 매출 부가세 신고배달의민족 매출은 부가세 신고 시 아래와 같이 반영하면 된다. ▶ 카드매출 : 별도 인식 (카과)▶ 현금매출 : 국세청 현금영수증 매출과 중복임 (매출인식 x)▶ 기타 매출 : 별도 인식 (건별)▶ 만나서 결제 카드 : 국세청 중복 (매출인식 x)▶ 만나서 결제 현금 : 별도 인식 (건별.. 2022. 7. 16. 온라인 쇼핑몰(스마트 스토어) 사업자신청 방법 및 절차 온라인 쇼핑몰 사업자 신청 방법 및 절차 예전만 해도 사업자 신청하는 게 뭐 그리 대단한 것처럼 보였는데 요즘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인 미디어 및 1인 창업이 많아 짐에 따라 별다른 사업장 없이도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오늘은 스마트 스토어 등 온라인 쇼핑몰 창업 시 사업자등록 절차에 대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업자등록 신청 전 준비하실 서류 홈텍스 로그인용 공인인증서 임대차계약서 (타가 임차 시) : 자가건물 이용 시 불필요 동업 시 동업자 계약서 (아래 파일 첨부) 상호 정하기 및 업태 / 종목 코드 확인하기 ▶ 먼저 국세청 홈텍스를 가입하기 위해서는 개인 공인인증서가 있어야 합니다. 인증서만 있으면 사용 등록만으로 간단히 회원가입을 할 수 있으며, 사업장 소재지가 자가.. 2022. 7. 14. 업종별 의제매입세액 공제 제대로 알고 부가세 줄이기 업종별 의제매입세액 공제 제대로 알고 부가세 줄이자 한해의 절반이 지나고 나니 또 부가세를 납부해야 할 날이 다가옵니다. 요식업을 운영하시는 분들이라면 매입원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채소, 육류 등 면세 매입자료를 꼼꼼히 챙겨보셔야 하는데요. 오늘은 업종별 의제매입세액 공제율 및 공제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의제매입 세액 공제제도란? ▶ 사업자가 농 · 축 · 수산물 등 부가가치세가 면제되는 재화를 구입하여 제조 · 가공 · 판매할 경우 부가가치 세액을 거래 징수당하지 않았는데도 매입가액의 일정한 비율을 매입세액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매출세액에서 일정액을 공제하는 제도이다. 이는 누적효과와 환수 효과를 완화하기 위한 규정으로 면세되는 재화를 원재료로 과세되는 매출이.. 2022. 7. 7. 신축건물 환산취득 가액으로 5년이내 매매 시 가산세 신축건물 환산 취득 가액으로 5년 이내 매매 시 가산세 양도소득세는 신고 시 취득가액과 양도가액은 실거래가 신고가 원칙이다. 하지만 건물을 직접 지어 실 취득 경비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없어 예전에는 환산가액으로 신고를 많이 해왔다. 하지만 2018년 1월 1일 이후 양도분부터는 가산세 조항이 신설되어 추가로 세부담을 해야 하니 신고 전 반드시 확인하도록 하자. 소득세법 제114조의 2 [감정가액 또는 환산 취득 가액 적용에 따른 가산세] ① 거주자가 선물을 신축 또는 증축 (증축의 경우 바닥면적 합계가 85제곱미터를 초과하는 경우에 한정한다)하고 그 건물의 취득일 또는 증축 일로부터 5년 이내에 해당 건물을 양도하는 경우로서 제97조 제1항 제1호 나목에 따른 감정가액 또는 환산 취득가액을 그 취득가액.. 2022. 6. 22. 비상장주식 거래 시 양도소득세 신고 및 주의할점 비상장주식 거래 시 양도소득세 신고 및 주의할 점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있지 않은 비상장 주식을 거래할 때에는 양도차익에 따라 양도소득세 신고납부 의무가 발생합니다. 중소기업이냐 중견기업 및 대기업이냐에 따라 세율이 달라지며, 대주주 요건에 따라서도 세율이 달라집니다. 오늘은 비상장주식 거래 시 납부해야 할 양도소득세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비상장 주식 증권거래세 비상장주식 거래 시 양도소득세는 양도차익에 대해서만 양도소득세를 납부하게 됩니다. 양도소득세는 양도차익이 손실이거나 없다면 납부의무가 발생하지 않지만, 비상장주식의 증권거래세는 양도금액에 일정하게 납부의무가 발생합니다. ▶ 비상장주식 증권거래세율 - 2021년 ~ 2022년 : 양도가액의 0.43% - 2023년 : 양도가액의 0.. 2022. 6. 19. 해외부동산 소유하고 있다면 어떤 세금을 내야하나 해외부동산 소유하고 있다면 어떤 세금을 내야 하나 해외부동산은 취득, 보유, 양도할 때까지 세금이 붙는다. 취득 시에는 취득자금에 대한 자금출처가 분명하여야 증여세가 과세되지 않고, 보유 중에는 발생한 임대소득세 대한 종합소득세 신고, 양도 시에는 매매차익에 대한 양도소득세 신고의무가 있다. 오늘은 해외부동산 소유에 따라 어떤 세금을 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해외부동산을 취득 시 세금 ▶ 해외부동산을 취득하면서 취득자금에 대한 자금출처가 본인의 소득으로 마련함이 분명하다면 납부할 세금은 없다. 하지만 취득자금을 증여를 받은 경우 증여세 납세의무가 생기며, 거주자가 비거주자에게 국외에 있는 자산을 증여했다면 수증자가 아닌 증여자가 증여세를 납부하여야 한다. ▶ 만약, 미성년자가 해외부동산을 취득.. 2022. 6. 17. 이전 1 ··· 4 5 6 7 8 9 10 ···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