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0

인플레이션이 우리에게 끼치는 영향 인플레이션이 우리에게 끼치는 영향 러시아 우크라이나의 전쟁으로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또한 중국의 봉쇄정책이 글로벌 공급망까지 흔들게 되면서 글로벌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 아닌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오늘은 인플레이션이 우리 경제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인플레이션이란? ▶ 시중에 돈이 많이 풀리면 화폐가치가 하락하여 수요가 공급을 못 따라줄 때 물가가 지속적으로 오르게 되는데 이를 인플레이션이라 한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원자재 비용 상승 및 공급망이 불안은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게 되었고 자연스레 물가상승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 디플레이션 : 인플레이션의 반대의 경우로 경제 전반적으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을 말한다. ▶ 기대인.. 2022. 6. 19.
비상장주식 거래 시 양도소득세 신고 및 주의할점 비상장주식 거래 시 양도소득세 신고 및 주의할 점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있지 않은 비상장 주식을 거래할 때에는 양도차익에 따라 양도소득세 신고납부 의무가 발생합니다. 중소기업이냐 중견기업 및 대기업이냐에 따라 세율이 달라지며, 대주주 요건에 따라서도 세율이 달라집니다. 오늘은 비상장주식 거래 시 납부해야 할 양도소득세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비상장 주식 증권거래세 비상장주식 거래 시 양도소득세는 양도차익에 대해서만 양도소득세를 납부하게 됩니다. 양도소득세는 양도차익이 손실이거나 없다면 납부의무가 발생하지 않지만, 비상장주식의 증권거래세는 양도금액에 일정하게 납부의무가 발생합니다. ▶ 비상장주식 증권거래세율 - 2021년 ~ 2022년 : 양도가액의 0.43% - 2023년 : 양도가액의 0.. 2022. 6. 19.
해외부동산 소유하고 있다면 어떤 세금을 내야하나 해외부동산 소유하고 있다면 어떤 세금을 내야 하나 해외부동산은 취득, 보유, 양도할 때까지 세금이 붙는다. 취득 시에는 취득자금에 대한 자금출처가 분명하여야 증여세가 과세되지 않고, 보유 중에는 발생한 임대소득세 대한 종합소득세 신고, 양도 시에는 매매차익에 대한 양도소득세 신고의무가 있다. 오늘은 해외부동산 소유에 따라 어떤 세금을 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해외부동산을 취득 시 세금 ▶ 해외부동산을 취득하면서 취득자금에 대한 자금출처가 본인의 소득으로 마련함이 분명하다면 납부할 세금은 없다. 하지만 취득자금을 증여를 받은 경우 증여세 납세의무가 생기며, 거주자가 비거주자에게 국외에 있는 자산을 증여했다면 수증자가 아닌 증여자가 증여세를 납부하여야 한다. ▶ 만약, 미성년자가 해외부동산을 취득.. 2022. 6. 17.
일감몰아주기 일감떼어주기 증여세 신고 방법 일감 몰아주기 일감 떼어주기 증여세 신고 국세청은 본인 및 자녀 등이 지배주주(주식 총수의 과반수 또는 주식수의 과점 50% 초과 주주)로 있는 법인에게 특수관계법인이 일감을 몰아주는 것에 대해 특수관계인들이 간접적인 이익을 본 것으로 간주하여 증여세를 과세하게 됩니다. 오늘은 어떤 법인들이 일감 몰아주기 증여세 과세대상에 해당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감 몰아주기 증여의제 대상 요건 일감을 받은 법인 (수혜법인)의 지배주주와 특수관계에 있는 법인(시혜 법인)이 수혜법인에게 일감을 몰아주어 발생한 이익을 지배주주와 그 친족 주주가 증여받은 것으로 보아 증여세를 과세하게 됩니다. 대상 요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일감 몰아주기로 수혜를 보는 법인이 세후 영업이익이 발생. 2. 수혜법인의 해당 사업연.. 2022. 6. 12.
종합소득세 가산세 총정리 종합소득세 가산세 총정리 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의 달이었습니다. 신고를 놓치셔서 기한 후 신고를 하거나 잘못 신고하여 수정신고를 해야 한다면 반드시 알고 체크해봐야 할 것이 가산세입니다. 오늘은 너무 종류가 많아서 헷갈리기 쉬운 종합소득세 가산세를 총정리해보겠습니다. 무신고 가산세 : 납부세액의 20% ~ 최대 40% 5/31일 신고기한까지 신고를 놓친 개인사업자라면 아래와 같이 무신고 가산세가 부과되며, 복식부기 의무자의 경우 적용하는 가산세는 다르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일반 무신고 : 무신고 납부세액 × 20% 부당 무신고 : 무신고 납부세액 × 40% [복식부기 의무자] 일반 무신고 : 무신고 납부세액 × 20% 와 수입금액 × 0.7% 중 큰 금액 부당 무신고 : 무신고 납부세액 × 40% 와 .. 2022. 6. 10.
태극기 역사 및 상황별 게양하는 방법 한방에 정리 올바른 태극기 게양하는 방법 오늘은 현충일(6월 6일)입니다. 전국 곳곳에 비가 내리면서 여기저기 펄럭여야 하는 태극기가 많이 보이지 않아 아쉬운 날이기도 합니다. 태극기는 기념일에 따라 게양하는 방법이 모두 다르다는 걸 아시나요? 오늘은 조의를 표하는 현충일인 만큼 태극기를 어떻게 게양하는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태극기의 역사 대한민국의 국기 태극기는 흰 바탕의 기 위에 짙은 적색과 남색의 태극 문양을 가운데에 두고 검은색의 건·곤·감·리 4괘가 네 귀에 둘러싼 모양이다. 태극기의 최초 도안자는 대한제국의 박영효이며 조선, 대한제국,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공식 국기로 사용되었다. 이는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도 계속 정식 국기로 사용되고 있다. 건곤감리는 태극기 네 모.. 2022. 6. 6.